상황별 조치방법 (학생 데이터를 토대로 아래 활동 중에서 필요한 활동을 선택하도록 해주세요)
1. 개념복습 : 개념을 직접 찾아보고 설명을 요청하거나 관련된 예제퀴즈나 대표유형을 10분정도 지시하는 것은 학생의 능동활동을 증가시키고 활력을 줄 수 있습니다.
2. 오답노트 검사 : 오답노트 방식을 관찰하여 능동적인 상태인지를 체크하고 학생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습니다.
3. ANKI 퀴즈활동 : 기초 개념들을 숙달하지 못해 문제 해석이나 선생님의 설명을 흡수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지연되는 경우 효과적입니다.
4. 질문준비 루틴 : 학생이 할 수 있는 부분을 능동적으로 수행한 후 질의응답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를 위해 유형별로 질문 방식을 알려주고 실행하도록 합니다. 충분한 공지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질문을 시작할 때 준비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준비활동 후 다시 질문하도록 요청하는 방식으로 학생이 좀 더 능동적으로 공부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5. 분기목표 입력 : 방학기간 또는 시험기간 등 분기별 최종목표를 입력하여 반복적으로 각인되도록 합니다. 총 6개의 분기로 이루어져 있음. 겨울방학, 1학기 중간고사, 1학기 기말고사, 여름방학, 2학기 중간고사, 2학기 기말고사.
6. 주간목표 입력 : 분기목표를 토대로 주간목표를 설정합니다.
7. 오늘목표 입력 : 주가목표를 토대로 오늘의 목표를 설정합니다.
8. 활동추적 및 자가진단 평가하기 : 오늘목표를 염두해 두고 작은 단위의 활동과 예상 시간을 입력하게 합니다. 학생이 활동을 진행하면서 자신의 상태를 체크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9. 지면평가 : 활동 중 특정 부분을 준비하여 선생님에게 직접 설명하며 피드백을 받는 활동입니다. 학생의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습니다. 해당 구간에서 부족한 부분을 드러내게 하고 피드백을 통하여 돌파하도록 돕습니다.
10. 질의응답 : 능동적인 질의응답의 몰입을 돕고 동기를 유지하는 최고의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