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src="http://www.liceoeinsteintorino.it/images/biblioteca/einstein.gif" width=200></img> 👩‍🏛️ 카이스트 터치수학📚에 오신 것을 🙏 환영합니다 !🎉 🎯 목표설정 [[분기목표]] | [[주간목표]] | [[일일목표]] 🗨️ 질의응답 [[수학질문]] | [[과학질문]] | [[확인평가]] ➡️ 귀가검사 [[목표계획]] | [[활동결과]] | [[지면평가]] --- 🕵️‍ [[사용방법]] 🔊 [[공부과학]] --- 🔮 <a style="text-decoration:none;color:skyblue" href="https://mathking.kr/moodle/local/augmented_teacher/students/showmymentor.php">GPT 멘토</a> 🧠 <a style="text-decoration:none;color:skyblue" href="https://mathking.kr/moodle/local/augmented_teacher/agents/GPT_UltraLearning.html">울트라러닝</a> --- 1년은 6개의 분기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 겨울방학 분기 : 12월 중순 ~ 2월 말 2. 중간고사 분기 : 3월 초 ~ 5월 초 3. 기말고사 분기 : 5월 초 ~ 7월 초 4. 여름방학 분기 : 7월 초 ~ 여름방학 5. 중간고사 분기 : 개학 ~ 10월 초 6. 기말고사 분기 : 10월 초 ~ 12월 초 각각의 분기 별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종 목표를 설정해 보세요 도움이 필요한 경우 분기목표 도우미 GPT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a style="text-decoration:none;color:skyblue;" href="https://chat.openai.com/g/g-2BQeUaRvk-bungimogpyo-doumi">분기목표 도우미 GPT</a> ---(text-colour:cyan)[분기목표를 확인 후 다음 순서로 주간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분기목표에 대한 주별 분량 예상하기 * 단원별 난이도와 분량을 고려하기 주간목표 정하기 * 컨텐츠 상의 목차를 복사하여 주간목표에 입력 (text-colour:(hsl:0,0,0.5333,0.6))[※ 분기목표가 위태롭다고 느껴진다면 반드시 선생님과 상의해주세요.] 귀가 지면평가를 선택 출제하실 수 있습니다.귀가검사 준비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0tTIdRua9-gwigageomsa">(클릭)</a> (text-colour:yellow)[오늘의 활동결과에 대한 GPT 멘토 평가를 확인 후 링크를 선생님에게 제출해 주세요](text-colour:cyan)[주간목표를 확인 후 다음 순서로 일일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공부할 내용 미리보기 * 대략의 난이도와 분량을 예측하기 * 주 별 공부시간을 고려하여 공부분량을 정하기 * 컨텐츠 상의 목차를 복사하여 오늘목표에 입력 (text-colour:(hsl:0,0,0.5333,0.6))[※ 주간목표가 위태롭다고 느껴진다면 반드시 선생님과 상의해주세요.] ## 학습과학 🧠[[기억력 향상]] : 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사고관점, 동기, 회복 탄력성]] : 끈기와 노력을 키우고 태도를 개선하는 법 🌐[[자기조절과 메타인지]] : 더 명확하고 유용하고 일관성 있게 생각하는 법 🔄[[학생들을 위한 조언]] : 커다란 차이를 낳는 습관과 행동 🚫[[사고의 편향성]] : 학습에 방해가 되는 그릇된 습관이나 버릇 --- ### 모두가 알아야 할 학습과학 77 어떻게 해야 오래 기억할 수 있을까? 포부와 기대는 높을수록 좋을까? 계획과 실행이 따로 노는 이유 복습은 언제, 얼마나 해야 하는 걸까? 성장관점이 미치는 영향 계획한 대로 되지 않는 이유 고정관점과 성장관점의 차이 십대, 사회적 거부에 대한 두려움 기대가 높으면 더 잘할까? IQ가 높으면 성공할까? 부모가 어떻게 해야 도움이 될까? 회복탄력성, 다시 일어서는 힘 마시멜로 실험과 자제력 있는 아이 목적의식은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효과적인학습을 위한 2가지 방법 자녀의 실패를 대하는 부모의 태도 음악을 들으며 공부해도 괜찮을까? 사람들은 왜 자기 실력을 과신할까? 과정을 칭찬해야 하는 이유 노력은 전염된다 교사에대한 평가는 객관적일까? 재능 vs. 노력, 어느 쪽을 존중할까? 시험을 위한공부 vs. 공부를 위한 시험 생각의 초점을 어디에 맞춰야 할까? 피드백에도 방법이 있다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자극하는 4가지 방법 과거의 나와현재의 나는얼마나 다를까? "왜?"라고 묻는 것의 중요성 잠의 힘 휴대전화, 멀리 둘수록 좋다 마시멜로 실험과 믿을 만한 교사 가장효과적인 필기방법은? 자기 실력을 의심하는 가면증후군 소리내서 읽으면 어디에 좋을까? 아침식사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 능력별 학급 편성은 누구에게 도움이 될까? 학습회복력은 어떻게 개발할 수 있을까? 나에 대한 타인의 관심, 의외로 작아!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최선의 방법 휴대전화가 수면에 끼치는 영향 그림과 글로 함께 공부할 때 친구를 가르칠 때 가장 많이 배운다? 전문성의 함정 공동과제의 유익은 무엇일까? 자신의 노력을 높게 평가하는 이케아 효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믿음과 기대 어떻게 해야 동기를 높일 수 있을까? 수업 중 딴생각하는 시간은 몇 분? 휴대전화 사용과 성적의 관계 짧은 산책이 집중력을 높인다 스트레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가지 질문 자기대화, 자존감 높은 사람의 특징 자녀의 책읽기 능력,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거짓 신경과학적 설명, 경계해야! 마감기한을 정하는 스킬 똑똑하다는 칭찬은 왜 위험한가? 감정과 성적은 어떤 관계일까? 휴식장소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 불확실성과 스트레스의 관계 메타인지와 학업성취도 향상 빈곤층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려면? 과정의 시각화 vs. 결과의 시각화 교사들의 말하는 방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항 자녀에 대한 과잉 칭찬의 문제점 망각곡선과 기억의 기술 숙제는 얼마나 자주 내줘야 할까? 성장관점이 중요한까닭 수업 전에 질문을 먼저 해도 될까? 학습자 유형에 맞춰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미신 밥상머리교육의힘 효과적인 노트필기 방법 아이들은 왜 다수의 뜻에 동조할까 ? 위대한 과학자의 힘겨운 시절 어떤 교사가 유능한 교사일까 ? 학업 스트레스까지 극복하는 인출연습 보는 것만으로는 실력이 나아지지 않는다 --- BEING SULLLIVAN ###### Begining of Educational Initiative for Next Generation using Systemic Upgrade of Learning Leverage Innovation with Vast Aliance Network ---## 기억력 향상을 위한 조언 배운 내용을 머릿속에 잘 기억해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연구로 확인된 바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투자한 노력에 비해 효과가 가장 크다. (text-colour:cyan)[인출연습]<br>주어진 질문에 답을 생각해내는 활동이다. 기출문제 풀이, 쪽지시혐, 객관식 시험, 구두시험 등이 있다. (text-colour:cyan)[시간 간격을 둔 반복연습]<br>많은 양을 한 번에 공부하는 것보다 조금씩 자주 공부하는 것이 좋다. (text-colour:cyan)[인터리빙]<br>주어진 주제에 관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푼다 (text-colour:cyan)[사전 질문]<br>가르치기 전에 해당 내용에 관한 질문을 먼저 던진다 (text-colour:cyan)[정교화 질문]<br>'왜 그럴까?' 혹은 'X에는 적용이 되는데, 왜 Y에는 안 되는 걸까?' 같은 질문을 해본다. (text-colour:cyan)[이중부호화]<br>그림과 글을 조합한다 (text-colour:cyan)[집중을 방해하는 요인 피하기]<br>새롭거나 복잡한 내용을 배울 때는 음악, 그중에서도 특히 가사가 있는 음악은 듣지 않도록 지도한다. (text-colour:cyan)[기억하고자 하는 것 회상하기]<br>밑줄을 치거나 단순히 노트를 다시 읽는 것은 기계적인 활동이 되기 쉬워서 학습효과가 떨어진다. (text-colour:cyan)[소리 내서 읽기]<br>노트에 필기된 내용을 다시 읽을 경우에는, 소리를 내서 읽어야 생산효과가 생겨서 더 잘 기억할 수 있다. (text-colour:cyan)[해당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기]<br>더 깊이 배우고 머릿속 지식을 정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자기조절과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조언 높은 자기인식 수준을 갖고 유용한 사고과정과 전략을 선택하는 능력은 배움 의 든든한 기반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극대화할 수 있다. (text-colour:cyan)[충분한 수면]<br>십대 청소년들은 성인보다 잠이 더 많이 펄요하다. 8 ~ 10 시간 수면을 목표로 한다. (text-colour:cyan)[내면의 대화 통제하기]<br>학생들이 혼잣말하는 방식은 생각, 기분,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 (text-colour:cyan)[휴대전화 관리하기]<br>휴대전화를 주위에 두지 않는 학생들이 더 잘 집중하고 더 효율적으로 공부한다. (text-colour:cyan)[메타인지와 성찰]<br>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 해보게 한다.<br>- 어떤 자료가 공부에 도움이 될까?<br>- 이 자료는 왜 유용한가?<br>- 이 자료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text-colour:cyan)[만족지연]<br>장기적으로 성공을 위해서 당분간 고생하는 편이 나은 경우도 있다. 즉, 만족을 미룰 수 있어야 한다. (text-colour:cyan)[주의산만에 대응하기]<br>학생들은 월요일과 금요일에는 집중을 더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에 맞춰 대응한다. (text-colour:cyan)[하지 말라는 말 하지 않기]<br>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다. (text-colour:cyan)[모든 스트레스가 나쁜 것은 아니다]<br>스트레스는 불확실성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모든 스트레스가 다 나쁘지는 않다. 스트레스가 유익하게 작용하는 데 역점을 두면 성적향상을 꾀할 수 있다. ## 학생들을 위한 조언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 좋은 의도가 있더라도 그것을 긍정적인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이 될 간단한 전략 중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한다. (text-colour:cyan)[아침 식사하기]<br>기분, 기억력, 성적을 향상시키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다 (text-colour:cyan)[필기하기]<br>효과적인 펄기를 위해서는<br>- 필기를 빠르게 하는 것보다 뇌가 그것을 느끼고 처리할 수 있는 적당히 느린 속도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br>- 강의내용을 글자 그대로 옮겨 적지 않도록 한다. 자신의 언어로 요약한다.<br>- 각 소단원이나 주제가 끝났을 때 정리해서필기한다. (text-colour:cyan)[높은 열망과 기대 품기]<br>조금 더 높은 목표에 도전해 본다 (text-colour:cyan)[함께 공부할 친구를 신중하게 고르기]<br>노력은 전염된다 (text-colour:cyan)[휴대전화 조명 낮추기]<br>잠자리에 들기 몇 시간 전에 휴대전화 조명을 낮추면 숙면에 한결 도움이 된다. (text-colour:cyan)[완벽한 미래에 대한 몽상에 너무 오래 빠져 있지 않기]<br>집중이 안 되고, 꾸물거리며 미루는 습관이 생길 수 있다.<br>미래에 관한 상상을 한다면, 성공을 위해 펄요한 행동을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리도록 한다. ## 사고의 편향성을 극복하기 위한 조언 사람들은 보통 스스로 생각하는 것만큼 합리적이거나 논리적이지 않다. 실제로 학습을 가로막는 편향된 생각이나 믿음이 많다. 이런 함정을 피하려면, 다 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두어야 한다. (text-colour:cyan)[어떤 과업을 완수하는 데 쑬 수 있는 시간은 생각보다 적다]<br>따라서 적절히 계획을 짜고 되도록 빨리 시작하라. (text-colour:cyan)[타고난 재능의 유혹에 빠져서는 안 된다]<br>사람들은 미래의 재능을 예측하는 데 서툴다. 따라서 현재의 유혹에 빠져 있지 말고 늘 색다른 미래의 시나리오를 상상해야 한다. (text-colour:cyan)[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정확히 평가한다]<br>사람들은 현재의 자신보다는 과거의 자신을 비판할 가능성이 더 크다. 이런 현상은 단기적인 자기보호 기제로, 자신의 능력과 견해를 정확히 평가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text-colour:cyan)[객관적인 자료를 사용한다]<br>실력이 낮을수록 현재의 수준을 정확히 예측하기가 힘들어진다. 사실과 통계자료는 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수단이다. (text-colour:cyan)[조명효과에 빠지지 않는다]<br>사람들은 대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우리에게 신경을 훨씬 덜 쓴다. (text-colour:cyan)[자기만의 생각에 빠져들지 않는다]<br>대체로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의견보다 자기가 낸 의견을 더 좋아한다. 그래서 비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언제 접근방식을 바꿔야 할지도 알지 못한다. (text-colour:cyan)[대중의 의견을 무조건 좇지 않는다]<br>대중의 의견을 무조건 따르다 보면 바람직하지 못한 선택을 하거나 평소에는 하지 않을 일을 저지르게 된다. (text-colour:cyan)[약간은 회의적인 태도를 취한다]<br>뇌와 학습방식에 관한 번드르르한 설명에 현혹되지 않는다. 항상 증거가 있는지를 살핀다. ## 사고관점, 동기,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조언 배우려는 자세를 갖고 높은 수준의 노력과 끈기를 발휘할 수 있게 도우려면 다음과 같이 하는 게 좋다 (textcolour:cyan)[발전하고 나아질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돕기]<br>이는 다음과 같은 것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가능하다.<br> 타고난 능력보다는 노력과 학습전략<br> 결과만이 아니라 과정<br> 실수를 발전에 보탬이 되는 정보나 배움의 기회로 보기 (textcolour:cyan)[목적의식을 키우기]<br>현재의 활동을 미래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한다. (textcolour:cyan)[실패에 대해 설명하기]<br>실패의 원인을 개인의 탓으로 돌리면 회복탄력성이 줄어들므로 그렇게 하지 않도록 격려한다. (textcolour:cyan)[성공에 관해 설명하기]<br>성공에 관해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성공의 비결을 외부의 요인이나 행운으로 돌리면, 동기와 자신감이 서서히 사그라지게 된다. (textcolour:cyan)[도움을 구하기]<br>활용 가능한 모든 자원과 도움을 활용하도록 격려한다.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은 나약함이 아닌 힘의 발현임을 알려준다. (textcolour:cyan)[통제 가능한 것들만 통제하기]<br>중요하고 자신의 통제 범위 안에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textcolour:cyan)[도전과 지원]<br>회복탄력성이 원활히 작용하려면,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면서도 동시에 관심과 지원이 제공되는 분위기여야 한다. ## 확인평가 짧은 주기의 피드백 활동은 장시간 몰입에 큰 도움이 됩니다. 정해진 규칙을 엄수해주세요. - 확인 지점에 도달할 경우 반드시 확인평가를 진행해주세요 - 질문이 있는 경우 먼저 질문을 한 다음 진행해 주세요 <a style="text-decoration:none;color:skyblue;" href="https://mathking.kr/moodle/local/augmented_teacher/teachers/papertest.php?id=2" target="_blan">확인평가 페이지 열기</a>#### 개념질문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wtsyL0L7f-suhag-keontenceu-saengseonggi">증명 도우미</a> #### 문제질문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wtsyL0L7f-suhag-keontenceu-saengseonggi">문제해설 도우미</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csJG3aBfN-culjejawayi-daehwa">출제자에게 물어보기</a> #### 장기기억화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wtsyL0L7f-suhag-keontenceu-saengseonggi">개념숙달 훈련하기</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wtsyL0L7f-suhag-keontenceu-saengseonggi">절차기억 훈련하기</a>#### 개념질문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2ZUhIMDuw-gwahag-gaenyeomseolmyeong-doumi">개념질문</a> #### 문제질문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wtsyL0L7f-suhag-keontenceu-saengseonggi">문제해설 도우미</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csJG3aBfN-culjejawayi-daehwa">출제자에게 물어보기</a> #### 장기기억화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wtsyL0L7f-suhag-keontenceu-saengseonggi">개념숙달 훈련하기</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RNnwgPr07-singihan-gwahaggongbu">절차기억 생성기</a>## Mathking 사용방법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dbwXyBGrd-welcome-to-mathking">기본 사용법</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dbwXyBGrd-welcome-to-mathking">개념 공부 방법</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dbwXyBGrd-welcome-to-mathking">오답노트 방법</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dbwXyBGrd-welcome-to-mathking">테스트 시간추가 방법</a></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dbwXyBGrd-welcome-to-mathking">평점의 의미와 활용법</a> <a style="color:skyblue;text-decoration:none;" href="https://chat.openai.com/g/g-dbwXyBGrd-welcome-to-mathking">시간표 관리방법</a> 다음 시간 목표를 계획하고 가볍운 Preview를 생성하여 제시